• 2024-06-16 (일)
 


사본 -1. 토론회 개최 사진 단체.jpg

[사회] [광주NBN뉴스/이춘수기자] 정다은 광주광역시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22일 오후 2시 광주광역시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기억의 터로서 망월동 묘역을 다시 생각하기” 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강은미, 송갑석, 윤영덕, 조오섭 국회의원과 정다은 광주광역시의원, 광주전남추모연대가 공동 주최했다.

 

김순 광주전남추모연대 집행위원장의 사회로 시작된 토론회 1부에서는 강은미, 송갑석, 윤영덕, 조오섭 국회의원은 민주유공자법 제정 추진 공로를 인정받아 호남유가족협의회(이하 호남유가협)로부터 감사패를 수상했다.

 

호남유가협은 민주화를 위해 목숨을 바친 민족민주열사의 정신계승과 그 명예회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였기에 그 귀한 정성에 감사한 마음을 담았다고 전했다.

 

이에 조오섭 국회의원은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인 배은심 여사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4년 연속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구묘역)에서 5·18정신계승 현장안내소를 운영했다“5월정신이 기억에 머물지 않고 미래세대의 유산으로 상속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부 토론회는 김봉국 교수(전남대 호남학과)가 발제를 맡았으며, 토론자로는 박창희 선임연구원(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박준배 부국장(뉴스1), 정다은 광주광역시의원이 나서 본격적인 토론이 진행됐다.

 

김봉국 교수는 망월묘역은 국가에 의해 배제되고 사회적 권리를 박탈당한 사람들의 장소였다공공성의 확장을 가져왔던 망월묘역에 깃든 연대의 실천과 기억은 여전히 새롭게 재해석될 가치가 있다고 발제했다.

 

박창희 선임연구원은 “5·18은 더 나은 사회를 지향하는 모든 운동의 역사적 정당성으로 작동하고 있다민주화 역사를 품어 안은 5·18, 성역화사업에서 강조하고 확장하는 것이 공원 조성사업에 핵심 방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배 뉴스1 부국장은 망월묘역을 어떤 공간으로 만들 것인지, 망월동 시민친화공원 조성사업의 내용과 안장기준과 같은 내용이 공론화가 돼야 할 필요가 있다공법단체와 시민들이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다은 시의원은 이날 토론에서 망월동은 민주화운동을 품은 5·18’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망월묘역이 후세대로 하여금 민주화의 성지로서 그 역사적 위상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 시민운동의 동력을 확산시키는 기억의 터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이 자리는 망월동 시민친화공원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망월묘역을 어떤 공간으로 만들 것인지 결정하는 자리가 아니라 망월묘역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에 대해 공부하는 자리라며 향후 공법단체를 비롯한 오월 당사자분들은 물론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공론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1234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억의 터’망월동 묘역 다시 생각하기 토론회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