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6-18 (화)
 


사본 -240529 달빛어린이병원 개소식GJI00260.jpg

[사회] [광주NBN뉴스/이춘수기자] 광주시가 남구 광주기독병원에 이어 광산구 광주센트럴병원을 2호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지정어린이 안심 의료체계를 강화한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29일 광산구 신가동 광주센트럴병원에서 강기정 시장과 고길석 광주센트럴병원장, 박병규 광산구청장, 최지현 광주시의원, 최정섭 광주시의사회장, 병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달빛어린이병원 개소식을 열었다.

 

달빛어린이병원은 집에서 가깝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응급실보다 적은 비용으로 소아 경증환자에게 전문 소아진료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다.

 

광주센트럴병원은 전날인 28일부터 광주시 제2호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을 시작해 오는 2026년까지 365일 소아청소년과 전문진료를 제공한다. 운영시간은 평일 18:00~23:00, 토요일 09:00~21:00, ·공휴일 09:00~18:00이다.

 

광주센트럴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부족, 재정 추가 부담 등 어려움 속에서도 어린이가 건강한 광주를 위해 의기투합해 이번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에 나섰다.

 

이로써 광주시에는 남구 광주기독교병원과 광산구 광주센트럴병원 2곳의 달빛어린이병원이 운영된다.

 

광주시는 지난해 9월 광주기독병원을 공공심야어린이병원으로 지정하고 36524시까지 소아청소년 외래 진료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를 가진 부모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라는 평가를 받는 등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호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지정된 광주센트럴병원은 소아청소년 인구가 가장 많은 광산구에 위치하고 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365일 소아 전문진료를 제공, 의료 취약시간대 소아 경증환자에 대한 의료공백 해소와 아이와 부모의 의료 접근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또 시민들이 병원 진료·처방 후 조제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신창대형약국을 협력약국으로 지정했다.

 

고길석 광주센트럴병원장은 우리 병원은 미래 주인공인 아이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보살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을 결심했다아이들이 건강하게 광주에서 자랄 수 있도록 초심을 잃지 않고 온 힘을 다하겠다. 함께 해준 센트럴 가족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부족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의료진의 사명감으로 큰 결단을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하다달빛어린이병원 지정으로 경증 소아환자들이 늦은 저녁 응급실을 방문하지 않고 소아 전문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아이와 부모 모두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앞서 어린이 공공의료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오픈런이 빚어지는 진료대란과 소아청소년과 폐과 위기 등의 상황에서 지역 의료계와 협업해 어린이 안심 의료체계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등을 순차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개소식 이후 광주센트럴병원에서 공공보건의료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언제, 어디서든, 어떤 질병이든! 누구나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을 주제(슬로건)로 지역 내에서 중증, 응급, 소아, 정신 등 최종 치료가 가능한 지역 완결적 공공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광주형 공공의료 로드맵 마련을 위해 열렸다.

 

토론회에서는 필수의료 특화 전문병원 육성 및 책임의료기관 확대 등 민간병원과 함께하는 공공의료시스템 마련 소생활권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공공보건의료사업 예산 확보 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나백주 을지대학교 교수, 박향 전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고길석 광주센트럴병원장, 김준성 광주굿모닝병원장, 광주시의사회 최정섭 회장과 김원영 공공의료 담당이사, 임형석 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부이사장, 권순석 광주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 김혜란 동구보건소 과장 등이 참여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7831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광주시, 제2호 달빛어린이병원에 ‘센트럴병원’ 지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